연천군 신서면 마전리
본래 마전군 군내면의 월곡리(月谷里) 지역으로, 마전군의 관아가 있어 ‘마전읍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마전군이 연천군으로 편입되면서 월곡리를 마전리로 개명하여 연천군 미산면에 편입시켰다. 1945년 해방과 동시에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한국전쟁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의 1개 법정리, 3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달골[月谷洞] : 사직골 북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땅이름에 흔히 쓰이는 ‘달'은 원래 산을 뜻하며 그 어근을 고어 ‘닫'에 두고 있다. 그러나 ‘닫'이 그음 그대로 지금까지 남아 쓰이는 것은 극히 드물고, 연결 음절과 다른 낱말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개음절화하여 ‘닷'·‘닥'·‘닭'·‘달' 등으로 옮겨가 뜻옮김을 하면서 ‘산'의 뜻이 ‘달'로 되었고 ‘골'과 합쳐지면서 ‘월곡(月谷)'이 된 것이다. 이 곳은 조선시대 마전군이 있었을 때 무당들이 신령을 모시고 받들던 부군당이 있었다 한다.
외딴말[獨村] : 장승백이 동쪽에 있던 마을. 따로 떨어져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었다. 지금은 밭으로 변해 있다.
향교말[校村] : 달골 동쪽에 있던 마을. 마전향교가 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가재골 : 삼거리에서 하오고개까지 있는 큰 골짜기. 마전리에서 가장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골짜기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건지산(乾芝山), 건산(乾山) : 향교말 남쪽에 있는 산. 옛 마전군 관아의 안산(案山)으로, 한국전쟁 전까지도 매년 10월이 되면 마전리 주민들이 산제를 올렸던 곳이다.
남세미고개 : 향교말에서 유촌리의 남세미로 넘어다니는 고개.
당개·당개나루[堂浦], 장거리 : 마전리 서남쪽, 임진강에 있던 나루터. 동남쪽에 있는 당성(堂城) 안에 마전군 사묘의 하나인 성황사(城隍祠) 당집이 있어 지어진 이름이다. 당개나루는 마전군 때부터 서해안에서 올라온 새우젓·소금 등을 실은 배가 정박하여, 이 곳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과 교역하던 장이 형성되었던 곳이다. 이 곳에는 마전군 선정비 5기와 은행나무 고목 한 그루가 있었으나 한국전쟁 때 모두 없어졌다고 한다.
덕고개 : 우정리로 넘어가는 고개. 현재 322번 지방도가 나있다. 옛날 마전군에 전염병이 돌 때 아이들을 이 고개 부근에 따로 모아 덕(널이나 막대 같은 것을 나무나 나뭇가지 사이에 버티어 세운 나무 위에 걸거나 얹어서 사람이 올라 앉도록 만든 시렁이나 선반 같은 것)을 만들어 격리·보호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마전군청터[麻田郡廳址] : 마전군이 연천군으로 편입되던 1914년까지 마전군 관아가 있던 터. 현재는 농경지로 변해 있다.
무자당(無子堂) : 향교말 동쪽, 산 정상에 있었던 당집. 예전에 아들이 없던 부인들이 득남을 위해 기도하던 곳이다.
사직골[社稷洞] : 조선시대에 마전군 사묘의 하나인 사직단(社稷壇)이 있던 곳. 현재 그 위치에는 묘와 민가가 위치해 있다.
삼거리 : 마전리 중앙에서 동이리·백학면·미산면으로 통하는 삼거리.
염창골[鹽倉谷] : 당개나루 옆에 있는 골짜기. 옛 마전군에서 관리하던 소금창고가 있던 곳이라 한다.
장승백이, 비석거리 : 달골과 향교말 사이에 있는 모퉁이. 한국전쟁 전까지도 목장승과 함께 8기의 마전군 선정비가 있었으나, 장승은 파괴되어 없어지고 선정비는 도로를 확장하면서 땅 속에 묻었다고 한다.
하오고개[和友峴] : 마전리 서쪽, 백학면으로 연결되는 큰 고개.
학교터 : 일제강점기 때 향교말[校村]에 있었던 4년제 마전공립보통학교 자리. 한국전쟁 때 건물이 파괴되어 지금은 농경지로 변해 있다.
향교산[鄕校山] : 유촌리와 경계에 있는 산. 옛 마전향교의 뒤에 위치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